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33 (2018)
pp.63~82

그림책 『지각대장 존』에 나타난 글, 그림, 파라텍스트 읽기

이석금

(계명대학교 유아교육대학원 강사)

본 연구는 그림책 『지각대장 존』의 포스트모던 특성을 연구하는 것이목적이다. 포스트모던 그림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현실과 환상의 구분에서기존의 연구들은 현실 세계와 환상 세계의 경계를 인식할 수 있는 기준에대한 천착 없이 주인공이 악어, 사자, 파도를 만나는 상황은 환상세계로, 교실상황은 현실 세계로 본 사례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글과 그림의 관계 뿐 아니라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연구에서 강조되는 파라텍스트, 즉 서체, 표지, 판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들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는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이 현실 세계를, 네 개의에피소드는 환상 세계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지각대장존』이 가지는 기호학적 특징과 포스트모던 적인 성격을 상세히 분석하였다. 주인공의 이름은 문화적 배경과 결부되어 있었다. 『지각대장 존』은 다양한 포스트모던 요소들을 갖추고 있었다. 이야기는 각 에피소드에서글과 그림이 병행되면서 순환구조를 만들어 열린 결말에 도달하였으며,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연구에서 주목하는 요소들이 각각 이야기의 진행과숨어있는 의미를 발견하는 단서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글과 그림에 더 해 파라텍스트를 분석하여 그림책을 해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제언으로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분석에서 글, 그림과 파라텍스트에 나타난 정보를 주의깊게 살펴보는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An Integral Analysis of Text, Picture and Paratext :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Lee Seog Ge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John Patrick Norman McHennessy, the Boy Who Was Always Late. In the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fantasy that frequently appears in Postmodern picture books,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the main characters meet alligators, lions, and waves without an innate understanding of the real world and the fantasy world, and that the classroom situation is real. In this study, we carefully analyzed various elements, inclu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pictures, such as the font, the cover, and the plate, which are highlighted in the study of postmodern picture books. As a result,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first and last scenes were the real world, and that the four episodes were the fantasy world. The study also analyzed in detail the semiotics and postmodern characteristics of the book. The main character's name was associated with a cultural background. In each episode, the story was accompanied by a combination of words and pictures, resulting in an open ending, and the focu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study was each a clue to the story's progress and its hidden meaning.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we analyzed and interpreted picture books by analyzing the paratext in addition to the analysis of text and pictures. The suggestion is to interpret the analysis of postmodern picture books carefully looking at the text, pictures, and information in the parabolic text.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