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35 (2019)
pp.183~210

DOI : 10.21299/jovc.2019.35.8

불교 인식론과 신체관을 통해 본 최수앙의 ‘몸의 미학’: 몸 안과 밖의 ‘알아차림’

강여울

(연세대학교)

이 연구에서는 ‘몸’이라는 주제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해내는 현대조 각가 최수앙의 예술 세계를 불교 인식론과 신체관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그가 보여주는 ‘몸의 미학’의 특성과 예술적 가치를 규명하고자 한다. 감 각 경험의 통찰을 강조하고 몸과 마음 및 물질과 정신의 유동적 상호관계 에 주목하는 불교 인식론과 신체관에서는 예술 본질과 연결되는 풍부한 미학적 함의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몸을 재현의 대상이자 상징적 매개 로 적극 활용하며 사회와 개인의 다양한 양상과 속성들을 담아내는 최수 앙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있어 불교 인식론과 신체관의 관점은 유용 한 이론적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최근 명상에 대한 관심과 맞 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는 「대념처경」이 제시하는 몸에 대한 이해를 중심 으로 최수앙의 조각이 제시하는 ‘몸의 미학’의 다층성에 대해 이야기할 것 이다. 정신과 물질의 결합으로서 몸을 이해하는 불교의 ‘명(名, nama)’과 ‘색(色, rūpa)’의 의미는 몸의 안과 밖에 반영된 개인과 사회의 이야기를 포착하는 그의 조각을 이해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몸을 하나의 실체가 아니라 부단히 변화하는 물질적, 정신적 과정으로 이해하는 오온(五蘊, pañca-khandha)과 의식(識, viññāṇa)의 개념은 몸을 감정과 인식, 심리 와 사상 등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현상들을 탐구하는 예 술적 매개로 사용하는 그의 예술을 이해하는 키워드가 된다. 또한 불교 인식론이 올바른 인식 수단으로 제시하는 ‘알아차림(念, sati, mindfulness)’은 최수앙의 예술이 몸의 재조합을 통해 드러내는 사회 실상 에 대한 관찰뿐만 아니라, 개인 자아의 일부분으로 여겨지는 몸 자체의 실상에 대한 통찰과 맞닿아 있음을 살펴볼 것이다.

An Investigation on Xooang Choi’s Art through Buddhist Epistemology and View of Body: ‘Mindfulness’ Inside and Outside the Body

Kang Yoewool

This essay investigates the distinctive features and qualities of the art of contemporary sculptor Xooang Choi from the perspective of Buddhist epistemology and view of body. In his work Choi has been presenting multifarious ways of understanding the human body. Buddhism stresses the insight through sensory experience and the organic interactions between body and mind as well as the material and the spiritual. Buddhist epistemology and view of body are also rich in aesthetic implications applicable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artistic creation. It can suggest a useful and effective conceptual framework to elucidate Choi’s art that has adopted the body not only as the object of representation but also as the symbolic medium to address various social and individual aspects. This essay will particularly illuminate the views on the body in the Mahāsatipaṭṭhāna Sutta (The Great Discourse on the Establishing of Mindfulness) in conjunction with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Choi’s ‘art of the body.’ Buddhism sees the human body as a combination of physical and mental elements. The Buddhist concept of ‘nama’ and ‘rūpa’-names and form / mind and body- can be applied in understanding of Choi’s sculpture which portrays individual and social stories taking place inside and outside of the body. The perspective of the ‘Five Aggregates (pañca-khandha)’ and ‘consciousness (viññāṇa)’ sees the body as a fluid process of physical and mental changes. These can be the key words to illustrate Choi’s use of body as an artistic medium to explore various phenomena-emotions and perceptions, psychology and ideology-arising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Lastly, we can discover a commonality between the nature of ‘sati (mindfulness)’ or right awareness in Buddhist practice and Choi’s observation on the reality of society as well as the insight to the reality of the body which is generally regarded as an essential part of one’s identit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