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36 (2020)
pp.85~107

DOI : 10.21299/jovc.2020.36.4

한국 공공디자인에서 공공성 결여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견해 : 칸트의 공통감 이론을 중심으로

김동빈

(동덕여자대학교)

공공디자인은 2005년 이래로 지난 10여 년 동안 한국 사회에서 나타난 주요한 현상 중 하나다. 한국의 공공디자인은 기획부터 실행에 이르기까 지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등의 주도하에 매우 급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 로 인해 공공디자인이 당연히 갖추어야 할 성질이자 조건으로서 공공성에 대한 깊은 성찰과 반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 결과, 한국의 공공디자 인 전반에서 공공성 결여의 문제가 나타나게 됐다. 이 글은 칸트 미학에 서 제기된 ‘공통감 이론’을 특징적으로 조명함으로써 한국 공공디자인의 공공성 결여 문제에 대해 비판적 검토를 시도하고 있다. 칸트에 따르면 공통감은 미적경험이 주관의 자율에 의해서 이루어지지만 이는 선험적이 기 때문에 보편적 타당성을 가지며 공동체적 감각이념으로서 주체와 주체 사이의 소통의 가능성을 근거로 하고 있다. 공통감은 또한, 주관의 자율 성에서 비롯된 소통의 가능성을 요구하지만 개별성을 존중함으로써 열려 있는 보편성으로 나아간다. 공통감 이론을 통해서 보았을 때 한국 공공디 자인에서 공공성의 결여 문제가 나타나게 된 요인은 시민 공통감각의 발 견과 반영의 부재, 미적 실현과 공적 기능 간의 상충, 획일성으로 인한 미적 자율성과 개별성의 침해 등으로 파악된다. 이는 모두 공공디자인에 대해 도시의 외적 양상 변화의 측면에서만 접근한 결과이며 시민들과의 소통과 공감의 부재로 인한 양상이다. 결국, 한국 공공디자인의 공공성 결여 문제는 공공디자인이 ‘미적 자율성’과 ‘사회적 소통과 공감’이라는 이 율배반적인 두 가지 명제가 공유됨으로써 성립되는 공적 활동이라는 인식 을 토대로 할 때 해소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Korean public design a critical view of the publicity issue : Based on the Kant's Sensus Sommunis

Kim Dongbin

Public design has been one of the major phenomena in Korean society over the past decade or so since 2005. Korean public design has been carried out in a hurr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from planning to implementation. As a result, there was no deep reflection and reflection on the public nature and condition that public design should have. As a result, the problem of lack of publicity emerged across the country’s public design. By characterizing the ‘sensus communis theory’ raised in Kant aesthetics, the article attempts a critical review of the lack of publicity in Korean public design. According to Kant, the sensus communis i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subject as a communal sense ideology, as aesthetic experience is done by the autonomy of the subject, but it has universal validity because it is priori. The sensus communis also requires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derived from the autonomy of the subject, but moves toward open universality by respecting individuality. The lack of publicity in Korean public design, which was seen through the theory of sensus communis, is attributed to the lack of public awareness and the lack of reflection, the conflict between aesthetic realization and public functions, and the violation of aesthetic autonomy and individuality due to uniformity. This is all due to the fact that public design has been approached only in terms of changes in the city's external aspects and the lack of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citizens. In the end, the lack of publicity in Korean public design i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public design is a public activity established by the sharing of two anti-rate propositions of ‘articulate autonomy’ and ‘social communication and empath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