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38 (2021)
pp.5~31

DOI : 10.21299/jovc.2021.38.1

그로테스크 미학 : 공포와 웃음 사이에서

김예경

(홍익대학교)

그로테스크의 본질에 관한 현대적 논의는 볼프강 카이저와 미하일 바흐 친의 이론에 기초한다. 두 이론가는 모두 그로테스크의 본질을 총체적으 로 탐구하였다는 점에 공통점을 갖는다. 여기서 본 연구의 관심은 그로테 스크의 미학적 특성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며, 이론적으로 그것이 ‘공포 와 웃음’ 사이 그 어디쯤 위치하는지의 문제를 파악하는 것이다. 예컨대 카이저는 근대 회화와 문학의 그로테스크를 연구하며 그로테스크의 특성 을 잔인함, 공포와 같은 어두운 감정으로 정의하고자 하였고, 이와는 대 조적으로 바흐친은 그로테스크를 웃음의 성질로 규정하고자 하였으며 웃 음은 그의 그로테스크 이론의 구심점이다. 두 이론의 상반된 관점으로 인 해 오늘날 그로테스크 이론은 큰 틀에서 공포스러운 성질과 희극적인 성 질로 나뉘게 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그로테스크 미학 이론적 발전과 전환의 내적인 주요 논제가 또는 견인축이 바로 웃음의 미학이며, 이것이 그로테스크 이론의 심층부에서 작동해 왔다고 전제한다. 바흐친이 그로테 스크 이론을 웃음에 관한 논의로부터 시작하였다면(『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제 1장은 <라블레와 웃음의 역 사>로부터 시작된다), 주목할 것은 카이저 또한 웃음을 그로테스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규정하였다는 것이다. 여기서 본 논문은 그로테스크가 ‘공포 와 희극’ 사이에서 어떻게 웃음의 미학과 관계하는지, 어떻게 후자가 그것 의 근간이 될 수 있는지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Grotesque : Between Horror and Laughter

Kim, Yeagyung

“What ar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Modern discussions on the nature of grotesque are based on the theories of Wolfgang Kayser and Mikhail Bakhtin. While both have explored the nature of grotesque as a whole, they displayed sharp contrasts in what they believe to be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Grotesque. Kaiser defined it as cruelty, fear, and horror (Grotesque in Art and Literature) after studying Grotesque in modern post-Renaissance paintings and literatures. Bakhtin, on the other hand, characterized laughter as a major element of Grotesque. He went as far as dedicating the first chapter of his book, Rabelais and His World, to laughter (“History of Rabelais and Laughter”). In this context, we investigate how Grotesque is defined between these two seemingly opposing aesthetic perspectives, with a focus on horror (modern) and comedy (medieval/renaissance). We then develop a unifying view of the two theories that both perceived Grotesque to have emerged from the philosophy of laughter.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