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39 (2021)
pp.265~289

DOI : 10.21299/jovc.2021.39.10

‘불멍’에서 마음과 대상의 문제 : 몽상과 명상 사이에서

강여울

(연세대학교)

이 글은 현대인들의 스트레스 대처 방법으로 호응을 얻고 있는 ‘멍 때 리기’ 휴식 문화의 한 양상인 ‘불멍’을 마음과 대상이라는 주제를 통해 살 펴보고자 한다. 특정한 생각을 하지 않고 몽롱한 의식 상태에 있는 멍 때 리기를 휴식의 방법으로 활용하는 불멍, 물멍, 산멍 등은 인지적 에너지 를 끊임없이 소비하는 각종 활동들로부터 일시적으로나마 벗어나고자 하 는 현대인들의 정신적 휴식에 대한 갈망을 반영한다. 의도적 멍 때리기 휴식이 지친 마음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점이 강조되며 특히 불멍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다양한 영상 매체를 통해 소비되는 불멍 이미지가 우리의 마음에 작용하는 방식은 대상의 특성이나 주체의 성향과 요구 등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가질 것이다. 이 글은 그것이 우리의 마음 과 관계 맺는 양상을 다음의 두 가지 측면에서 분석해 본다. 첫째, 불과 물이라는 질료적 원소를 매개로한 비집중의 정신활동인 몽상과 불멍의 기 제를 비교해 본다. 둘째, 불멍의 심신 안정의 효과를 마인드풀니스 (mindfulness)와 비교하는 최근의 경향을 양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주목 하며 살펴본다. 이 두 가지 맥락을 통해 오늘날 대중적 멍 때리기 휴식 문화에 반영된 대상과 마음의 관계성을 살펴보고, 그것의 긍정적 효과와 더불어 한계점 또한 비판적으로 고찰해 볼 것이다.

On Gazing Into Fire: Between Daydreaming and Mindfulness

Yoewool Kang

This essay explores the effects of ‘bulmeong (gazing into fire)’ as a way of mental relaxation and coping with stress in the context of the mind and its object. The trend of bulmeong (gazing into fire), mulmeong (gazing into water), or sanmeong (gazing into mountain)which intentionally utilizes the state of “spacing out” or “zoning out” as a way of resting the mind reflects the needs of many people who yearn for mental rest away from everyday activities. Given its relaxing effects on the mind, bulmeong has gained much popularity. Various fireplace and campfire videos are available at many sites and channels. This essay investigates the way how these images interact with the mind in two different contexts. First, I will compare the Bachelardian daydreaming with the state of bulmeong focusing on the concept of material imagination. Second, I will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state of bulmeong and mindfulness to elucidate the limitations of bulmeong as a stress coping strategy as well as its positive effect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