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43 (2023)
pp.153~186

DOI : 10.21299/jovc.2023.43.6

1950년대~1980년대의 제주도 관광 시선 분석 : 장리석 회화와 제주 관광 안내서 속 해녀 이미지를 중심으로

송준영

(제주대학교 미술학과)

본 논문은 장리석의 회화와 제주도 관광 안내서에 실린 해녀 이미지를 비교․분석하고 195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형성된 제주도의 관광 시선을 분석하여 근현대 제주도라는 물리적 장소가 수행성을 지닌 장소로 인식되 는 과정을 살펴보는 것이다. 제주도는 20세기 들어 인식적 공간이 급변한 곳이라 할 수 있는데, 제 주도의 경제 사회와 더불어 제주도를 표상하는 이미지가 급격하게 변화하 게 된 원인 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관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 서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식민주의의 관광 시선으로 형성된 조선 향토색을 살펴보고 그 도상의 형식적 관성이 어떻게 남았는지 살펴볼 것이다. 그 대표적인 사례로 한국의 대표적인 근현대 서양화가였던 장리석(1916~ 2019)의 작품에 나타난 해녀 이미지를 분석하여 개인의 훈련으로 형성된 도상이 제주도라는 장소를 어떻게 개념화하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1950년 후반부터 제작된 제주도 관광 안내서에서 해녀 이미지가 제주도 관광에 어떻게 소비되었는지 보고자 한다. 두 가지 매체가 동일한 소재를 어떻게 표현하였는지 분석함으로써 근현 대 한국에서 관성적으로 남아 있는 타자화된 식민주의적 관광 시선이 ‘이 국적인 풍경’으로 만들어야 했던 제주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 보고, 이러한 시선이 작동한 제주도가 어떤 인식적 지리로 변해갔는지를 논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An Analysis of the Tourist Gaze on Jeju Island between the 1950s and the 1980s : Focused on Chang Ree-souk’s Paintings and Haenyeo Images from Jeju Tourist Guidebooks

Song, Jun-Young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Jeju Island has been perceived as a place with performativity from merely a physical place in the modern times, by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 Ree-souk’s paintings and Haenyeo images from Jeju tourist guidebooks and analyzing the tourist gaze on Jeju Island between the 1950s and the 1980s. It is said that Jeju Island is one of the areas whose cognitive space rapidly changed in the Korean of the 20th century, further resulting in great change in its symbolic images. One of the typical causes for such a rapid change would be tourism in addition to the economy of Jeju Island. In this light, this study examines the Joseon local color created by the tourist gaze of colonialism formed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nd looks into how much of the formal inertia of the icons remains in Jeju Island at present. As one typical case, this study analyzes Haenyeo images from the painting of Chang Ree-souk (1916- 2019), a Korean representative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 of Western painting, and examines how this icon, which is usually formed through individual training, has conceptualized Jeju Island. Then, this study intends to look into how Haenyeo images, designed for Jeju Island tourist guidebooks since the late 1950s, are consumed by the tourists to Jeju Island. While analyzing how these two media have expressed the same materials, this study finds how the otherized colonial tourist gaze, which remains in Korea in modern times, has affected Jeju Island that needed to create and own its exotic scenery. At this poi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kind of cognitive place Jeju Island has become under the influence of such a gaze.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