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44 (2024)
pp.123~147

DOI : 10.21299/jovc.2024.44.6

이미지 없는 뉴미디어아트, 그 지각의 방식 : 제임스 터렐의 ‘간츠펠트(Ganzfeld)’ 지각에 있어서 ‘seeing-in’으로부터 ‘sensing-in’으로의 변환 가능성을 중심으로

장원

(홍익대학교)

현대미술의 혁신 중 하나는, 첨단 매체의 확장에 따른 작품과 전시의 구성방식에서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는 미술품을 창조한다는 것이다. 특히 빛을 대상이나 간접적인 요소를 넘어 광원으로 사용하면서 형성한 제임스 터렐의 ‘간츠펠트(Ganzfeld)’ 시리즈는 관람자의 눈을 통해 특정한 초점을 둘 수 없는 공간 전체가 작품이자 관객의 현전적 체험이 이루어지는 실재 계(Real World)로서의 장(場)이 된다. 여기서는 눈에 의존한 시각성이 흐 려지는 대신 지각의 극대화가 일어나며, 몰입을 통한 다양한 지각층을 경 험하게 된다. 터렐의 작품에서 ‘시각 공간(viewing space)’과 ‘지각 공간 (sensing space)’의 구분은 신체의 움직임에 따른 위치 변화로부터 발생 되며, 이러한 지각의 방식은 기존의 ‘본다’는 행위와 지각성을 온전히 변 화시킨다. 이에 따라 기존의 지각이론을 대체할 논의가 필요하며, 리처드 월하임의 ‘안에서-보기(seeing-in)’ 개념의 특성은 ‘안에서-지각하기 (sensing-in)’로 수정, 변환되어 적용 가능하다. 그의 개념이 다루는 지각 의 범위, 이미지 너머의 상황, 다층적 주목과 몰입 등의 특징이 빛으로 형성된 미디어 환경과 공간 내에서의 지각 방식을 규명하는데 유효할 것이기 때문이다.

New Media Art without Images, Its Discourse of Perception : focusing on the convertibility from ‘seeing-in’ to ‘sensing-in’ perceiving the ‘Ganzfeld’ by James Turrell

CHANG, Won

One of the most groundbreaking innovations in contemporary art is to create art pieces without images in forming the works and exhibition due to the expansion of new technologies and media. In the Ganzfeld series of James Turrell, utilizing the light sources, their spaces are the works and the arenas as a real world where viewers’ presence lead to perceptual experience. There is no specific focal point or image for viewers to perceive with their eyes in this experience. Instead of pure visuality, they are allowed to experience multiple layers of perception by being immersed into the space. The separation between the ‘viewing space’ and ‘sensing space’ in Turrell’s Ganzfeld occurs from the change of vantage points by moving spectators’ body, which generates the transition of the perception out of traditional act of ‘seeing’ and visual perception. It requires a new alternative discourse of perceptibility, and the concept of ‘seeing-in’ of Richard Wolheim is applicable when it is modified as ‘sensing-in,’ which might be available to establish the methodology of perception in the media surroundings and spaces constructed with light, in terms of the bound of perception, the circumstance beyond image, multiple attentiveness and immersion.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