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44 (2024)
pp.177~208
DOI : 10.21299/jovc.2024.44.8
헤테로토피아와 메타버스의 공간 구축 원리 비교
이 연구는 미셸 푸코가 제창한 헤테로토피아(Heterotopia)라는 개념을 통해 메타버스(metaverse) 공간을 바라본다. 대표 사례로 거론되는 네 개 의 메타버스 사례를 중심으로 헤테로토피아적 공간 구성의 원리와 특징을 분석했고, 현실에 존재하는 유토피아로서 메타버스를 구축하기 위해 어떠 한 공간적 사고가 필요한지 논의하고자 했다. 헤테로토피아는 형식의 다 양성, 문화의 기능성, 공간의 중첩성, 시간의 분할성, 조건적 개폐성, 보 정의 기능성의 원리를 기반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헤테로토폴로지 (Heterotopology)는 메타버스 공간에서 각각 기능과 표현의 다양성, 축적 의 기능과 문화적 가치, 공간의 동시적 연결과 병치적 연결, 시간의 분할 로 인한 일시성과 특정성, 공간의 접근성과 폐쇄성, 현실의 보완성과 환 상성으로 발견된다. 주요 사례 중, 특히 로블록스 사례에서는 일상과는 전혀 다른 형식과 규범이 존재하는 다양성의 공간으로서 헤테로토피아 공 간적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다. 단순히 디지털 기술이 적용된 가상 공간을 넘어, 현실에 존재하는 유토피아, 즉 헤테로토피아로서 작동하는 메타버스 공간을 위해 이 여섯 가지 공간 구성의 원리는 어떻게 적용되어야 할까?
Comparative Perspectives on Spatial Principles : Heterotopia and Metaver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the metaverse space through Michel Foucault's Heterotopia. Focusing on four prominent cases of the metaverse, the study analyzes the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heterotopic spaces. It aims to discuss the spatial thinking required to construct the metaverse as a utopia existing in reality. Heterotopia is structured based on principles such as diversity of forms, cultural functionality, overlapping of spaces, division of time, conditional openness, and functionality of correction. These principles of heterotopology are observed in the metaverse space through diverse functions and expressions, accumulation of cultural values, simultaneous and juxtaposed connections of spaces, temporality and specificity derived from time division, accessibility and enclosure of spaces, and the complementarity and fantasy of reality. These attributes are observed in major metaverse cases, with Roblox showcasing the most distinct heterotopic features as a space of diversity with norms and forms entirely distinct from everyday life. Beyond merely applying digital technology to virtual spaces, how should these six principles of spatial construction be applied to metaverse spaces that operate as a heterotopia, a utopia existing in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