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43 (2023)
pp.67~91

DOI : 10.21299/jovc.2023.43.3

2016년 이후 한국장편영화 여성 캐릭터의 사회적 지위 연구

유지선

(동국대학교)

본 연구는 2010년대 중반 페미니즘 논의와 함께 2016년 이후 한국 장 편영화 경향이 페미니즘 영화와 여성서사의 물결을 형성하고 있음에 주목 한다. 다음으로 분석 텍스트를 관통하는 요소로 여성캐릭터의 사회적 지 위가 어떻게 표현되는지 살펴본다. 여기서 주요 연구 배경은 2016년의 시 대, 영화 제작 방식, 담론 형성이다. 2016년 이후 페미니즘 영화에 대한 활발한 논의는 그들의 사회적 배경, 주로 저예산 독립영화의 제작 방식, 국내외적 평가와 관련이 있다. 2016년 이후 여성주의영화 혹은 여성서사 는 몇 가지 특징들을 드러낸다. 고용불안이라는 현실, 가부장제의 붕괴, 모녀 관계 등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은 다음의 요소로 연결되면서 여 성주의영화의 새로운 여성서사를 견인해낸다. 그 요소라는 것은 바로 여 성의 사회적 지위이다. 본 연구의 텍스트는 2016년 이후의 영화 중 여성의 사회적 지위를 통 해 여성주의영화 혹은 여성서사에 대한 담론을 이끌어내는 영화들을 삼고 자한다. <소공녀>(2017), <벌새>(2018), <82년생 김지영>(2019), <윤희 에게>(2019)를 분석의 텍스트로 논의하고자 한다. 분석 텍스트들에서 주요하게 보이는 특징들 중 하나는 전통적인 여성상 으로서의 표상인 가정주부와 집 밖에서 활동하는 직업인으로서의 갈등과 균열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또한 이 영화들은 가사노동의 사회적 함의와 평가를 역설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82년생 김지영>과 <윤희에게>는 직 접적으로 그 갈등과 균열을 드러내고 있으며, <소공녀>는 주인공 미소가 가사도우미를 직업으로 택하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벌새>는 은희가 바 라보는 엄마와 학원 선생님 영지를 통하여 전통적인 여성상과 변화하는 여성상의 갈등과 균열을 간접적으로 표출하고 있다. 일찍이 미국의 페미니스트이자 사회심리학자인 베티 프리단은 사회가 여성을 신화적으로 어떻게 구성했으며, 그 신화가 여성이 욕망하는 부분 과 괴리되어 있으며, 사회가 이를 억압하고 있다고 이야기한다. 2016년 이후 한국장편영화의 여성캐릭터의 사회적 지위인 엄마, 가사 도우미, 조 리사 등은 가부장제의 테두리에 안에 있는 여성캐릭터로 나타나지만, 이 어서 그에 대한 성찰, 변주, 패러디 그리고 역설을 통하여 지금 현재 한 국사회의 성역할에 대한 비판과 변화를 보여준다.

A Study on the Social Status of Female Character in Korean Feature Films since 2016

Jisun Yoo

This study focuses on the trend of Korean feature films forming a wave of feminist films and female narratives since 2016, along with the discussion of feminism in the mid-2010s. The social status of a female character is the common element that goes through the texts analyzed in this study. The main research background here is the era of 2016, the film production process, and discourse formation. Active discussion on feminist films since 2016 is associated with the social background of the films, the production process of mostly low-budget independent films, and domestic and foreign valuation. Feminist films and female narratives since 2016 show characteristics like the reality of employment instability, the fall of patriarchy, and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These characteristics connect to the element of women's social status, deriving new female narratives out of feminist films. The study looks through films released after 2016 that lead to a discourse on feminist films or female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social status of women. This paper analyzes and discusses the texts from Microhabitat (2017), House of Hummingbird (2018), Kim Ji-young: Born 1982 (2019), and Moonlit Winter (2019).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texts is that they show the conflict and cracks that exist between the traditional female representation as a housewife and a professional career woman. In addition, these films paradoxically reveal the social implications and assessments of domestic labor. Kim Ji-young: Born 1982 and Moonlit Winter directly reveal the conflicts and cracks, and Microhabitat shows the main character Miso choosing a housekeeper as a job, and House of Hummingbird expresses the traditional female image and changing female conflicts and cracks through Eun-hee's mother and academy teacher's territory. Betty Friedan, an American feminist and social psychologist, earlier explained how society mythically constructs women, how the myth diverges from what women desire, and how society oppresses those desires. The social status of female characters in Korean feature films since 2016 has been represented as mothers, housekeepers, cafeteria cooks, etc., who appear to be women within the borders of patriarchy. However, through introspection, variations, parodies, and paradoxes, they criticize and show changes in the gender roles of Korean society today.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