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문화 검색

pISSN: 1598-1088

영상문화, Vol.43 (2023)
pp.271~296

DOI : 10.21299/jovc.2023.43.10

국내 다크뮤지엄 전시 소재의 유형화와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 연구

김정웅

(백석예술대학교)

본 연구에서는 탄압, 학살, 전쟁, 자연재해, 전염병, 인재사고 등과 같 이 한국 사회에서 발생한 비극을 기념하는 박물관을 의미하는 ‘다크뮤지 엄’을 운영하기 위해 일반 박물관의 전시소재 특성과 다른 다크뮤지엄의 전시소재를 유형화한 후 각 특성에 따른 활용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이를 위해 일반 박물관에서 규정하는 전시물의 분류방식인 의미와 실태를 중심 으로 의미 분류에서는 내용과 가치가 어떻게 전시물로 규정될 수 있는지, 또 실태 분류에서는 형식, 형상, 성질, 상태 등이 어떻게 전시물로 규정되 는지 실제 국내를 대표하는 다크뮤지엄에서의 전시소재를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다크뮤지엄은 대부분 비극을 환기시키고 비극이 발생한 원인과 과정, 결과를 알리고자 ‘이야기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또 가치적으로는 ‘사건성’이 강조되고 ‘상대성’, ‘희소성’, ‘특수성’ 이 나타났다. 그런데 ‘이야기재’ 중에서 국내 다크뮤지엄마다 구술(증언)을 전시소재로 활용하는 점에 있어선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국내다크뮤지엄 이 비극의 실체를 드러내는 것을 넘어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비극 당 시의 분위기와 정서를 환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술(증언)의 전 시소재 적용 방안에 대해 깊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또 소수의 다크뮤지 엄에서 시도되는 예술작품을 전시구성에 활용하는 방식은 방문객에게 새 로운 시각과 함께 비극의 본질적 의미에 접근할 수 있는 정서를 제공한다 는 점에서 앞으로 주목해야 할 전시소재이다.

Research on the typification and utilization of domestic Dark Museum exhibition materials and research on how to utilize them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Kim JeongUng

In order to operate a ‘Dark Museum’, which means a museum that commemorates tragedies that have occurred in Korean society, such as repression, genocide, war, natural disasters, epidemics, and human accidents, this study categorizes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 materials in general museums and the exhibit materials in dark museums, and discusses how to utilize each characteristic. For this purpose, we analyzed the exhibit materials in dark museums representing Korea by focusing on the meaning and actuality, which are the classification methods of exhibits in general museums, and how the content and value can be defined as exhibits in the meaning classification, and how the form, shape, nature, and condition can be defined as exhibits in the actuality class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domestic dark museums actively utilized ‘narrative materials’ to remind people of the tragedy and to inform them of the causes, processes, and consequences of the tragedy. In terms of values, ‘eventuality’ was emphasized, and ‘relativity’, ‘scarcity’, and ‘specificity’ appeared. However, among the ‘narrative material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tent to which domestic dark museums utilized oral testimonies as exhibition materials. In order for domestic dark museums to approach the truth beyond revealing the substance of the tragedy, it is necessary to study in-depth how to apply oral testimoni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evoking the atmosphere and emotions of the tragedy, as exhibition materials. In addition, the method of utilizing artworks in the exhibition composition, which has been tried in a few dark museums, is an exhibition material t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in the future because it provides visitors with a new perspective and an emotion that allows them to access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tragedy.

Download PDF list